교통지원 정책 더 경기패스 - 지원내용 및 혜택
대중교통 지원혜택 중 대표적으로 알뜰교통카드가 있습니다. 2024년 하반기 부터는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다양한 대중교통 지원 정책이 도입되는데요. 본문 내용에서는 경기도민을 위한 교통지원 정책 더 경기패스 지원혜택 및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더(The) 경기패스란?
더 경기패스란 경기도민을 위한 교통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로 경기도 주민이라면 경기도 내 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광역버스와 신분당선을 포함하여 모든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부분을 환급해주는 정책입니다.
The 경기패스는 k-패스와 마찬가지로 2024년 하반기 부터 도입될 예정이며 경기교통공사와 버스조합 등 전문과들과 논의를 거쳐 진행됩니다.
더 경기패스 지원혜택
경기도 주민들을 위한 더 경기패스 내용은 기본적으로 2024년 부터 도입될 k-패스와 동일합니다. 지원대상(일반, 청년, 저소득)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적립률 및 환급액이 달라집니다.
- 저소득 : 기초생활수급자 or 차상위계층
- 청년 : 만 19~34세 (더 경기패스의 경우 최대 39세 까지)
- 일반 : 그 외
더 경기패스 교통비에 따른 적립할인율 | ||||
구분 | 적립률 | 환급액 | ||
1,500원 | 2,000원 | 3,000원 | ||
일반 | 20% | 300원 (18,000원) ※ 1년기준 21.6만원 |
400원 (24,000원) | 600원 (36,000원) |
청년 | 30% | 450원 (27,000원) ※ 1년기준 32.4만원 |
600원 (36,000원) | 900원 (54,000원) |
저소득 | 53.3% | 800원 (48,000원) ※ 1년기준 57.6만원 |
1,070원 (64,200원) | 1,600원 (96,000원) |
일반인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20% 까지 환급이 가능하며, 청년의 경우 30% 까지 그리고 저소득의 경우 53.3%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.
수도권 서울 대중교통 버스요금 1,500원을 기준으로 일반인의 경우 월 최대 1만 8천원, 청년의 경우 월 2만 7천원, 저소득의 경우 월 4만 8천원 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.
더 경기패스 추가혜택
또한 더 경기패스의 경우 추가적인 혜택이 더 있는데요. 최대 30% 까지 적립받을 수 있는 청년의 대상이 만 34세 까지가 아닌 39세 까지 대상이 확대되었으며,
지원대상인 일반, 청년,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어린이 및 청소년들 또한 대중교통 이용 혜택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.
더 경기패스 추가혜택 | |
① 어린이·청소년교통비 지원 혜택 | 13~23세 → 6~18세 교통비 지원 |
② 청년 대상 연령 확대 | 19~34세 → 19~39세 |
③ 월 이용횟수 무제한 확대 | 21~60회 → 21회 이상 무제한 |
마지막으로 60회 까지만 이용가능한 알뜰교통카드 및 k-패스와 달리 21회 이상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횟수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이용하실 수 있으니 매일 출퇴근 하거나 학생들에게 매우 도움되는 정책인 것 같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