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마을금고 세금우대/비과세 혜택 및 가입방법
새마을금고, 신협, 수협 등의 상호금융권은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저축금리 그리고 세금우대/비과세 혜택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데요.
본문 내용을 통해 새마을금고를 이용중인 고객님들을 위한 새마을금고 세금우대/비과세 혜택 및 조합원 가입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새마을금고 세금우대/비과세 혜택
많은 분들이 높은 저축금리를 위해 새마을금고를 이용중이고 계실텐데요. 만약 새마을금고를 이용중이시라면 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 가입을 통해 세금우대/비과세 등 더 많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 혜택 | |
혜택 | 1. 세금우대저축 한도 3천만원 가입 가능 |
2. 출자금 한도 ※ 2024.01.01 부터 2천만원 적용 |
|
3. 대출금 한도 1억원 수입인지세 면제 |
일반적으로 예금 또는 적금을 통해 수령받는 이자는 모두 돌려받는 것이 아닌 세금(이자소득세 14% + 농특세 1.4%)을 떼고 남은 금액을 이자로 수령 받는데요.
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 가입을 통해 3천만원 까지 세금우대(이자소득세 14% + 농특세 1.4%) 혜택과 1천만원(2024.01.01 부터 2천만원) 까지 비과세 한도를 더해 최대 5천만원 세금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※ 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혜택
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에는 출자금 및 출자금통장이 빠질 수 없는데요. 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새마을금고 출자금통장 개설 및 출자금을 납입해주셔야 합니다.
- 예금/적금 가입시 세금우대 혜택
- 실적에 따른 배당금 지급(비과세)
- 20일 계좌개설 제한 없음
-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음
새마을금고 출자금통장은 조합원 자격을 부여받기 위하여 내는 출자금을 묶어두는 통장을 말하며, 이렇게 낸 출자금은 세금우대(비과세) 혜택을 받거나 해당 금고의 실적에 따라 배당금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조건
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 가입은 가입하고 싶다고 무조건 가입 신청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조건에 충족하여야 합니다.
별도의 상품가입 및 이용실적을 충족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가입하려는 조합원 인근에 위치하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.
- 가입하고자 하는 새마을금고 지점 인근에 거소가 있는 자
- 가입하고자 하는 새마을금고 지점 인근에 사업장을 둔 자
- 가입하고자 하는 새마을금고 지점 인근에 종사하는 자
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방법
새마을금고 조합원(회원) 가입방법은 신협, 수협과는 다르게 비대면 가입이 불가하며 새마을금고 영업지점 내방을 통해서만 조합원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.
새마을금고 영업지점에 내방해 주셨다면 창구직원을 통해 회원가입 신청서를 제출하고 출자금통장 개설 후 출자금 납입(지점마다 금액이 상이)하여 회원자격 취득 후 새마을금고 세금우대 및 다양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
- 새마을금고 영업지점 방문
- 조합원 가입 신청서 작성하기
- 출자금통장 개설(20일 계좌개설 X)
- 출자금 납입
- 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완료
※ 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 준비물
새마을금고 조합원 가입 신청을 위해서는 출자금통장을 필수로 만들어 주셔야 하는데 이를 위해 출자금(현금)을 준비해주셔야 합니다.
- 신분증 (주민등록증 or 운전면혀증)
- 현금 (1~10만원)
출자금액은 가입 금고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최소 1만원에서 10만원 사이로 대부분 5만원 정도가 필요하며, 방문 전 영업지점 문의 후 현금을 준비하여 방문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